'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3건
-
한국논리학회 2021년 겨울 정기발표회(2월 5일) 안내
2020/12/30
-
[긴급 공지] 2월8일 한국논리학회 학술대회 연기
2020/02/05
-
한국논리학회 2020년 겨울 정기발표회(2월 8일) 안내
2020/01/16
-
한국논리학회 조직구성 (2019. 9 ~ 2021. 8)
2019/11/23
-
한국논리학회 2019년 여름 정기발표회(8월 2일) 안내
2019/07/07
-
한국논리학회 2019년 봄 정기발표회 (5월 4일, 전북대)
2019/04/24
-
한국논리학회 겨울정기발표회(1/25) 안내
2019/01/15
-
한국논리학회 2018 가을 정기발표회 안내
2018/11/01
-
한국논리학회 정기발표회(6/22) 안내
2018/06/10
-
<논리연구> 발표논문 총목록
2018/03/01
한국논리학회 2021년 겨울 정기발표회(2월 5일) 안내
2020/12/30 17:03[긴급 공지] 2월8일 한국논리학회 학술대회 연기
2020/02/05 12:25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2020년 2월 8일 토요일 국민대학교에서 개최하려던 정기학술대회를 연기합니다. 여건이 나아지는대로 학술대회는 3~4월 중에 개최할 예정이며 개최일 최소 2주 전에 공지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갑작스럽게 일정을 변경하게 되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회원 여러분 모두 건강한 모습으로 봄에 뵙길 희망합니다.
논리학회 회장 드림
한국논리학회 2020년 겨울 정기발표회(2월 8일) 안내
2020/01/16 19:39한국논리학회 조직구성 (2019. 9 ~ 2021. 8)
2019/11/23 10:59회장 김한승(국민대)
<편집위원회>
위원장: 김신(한국외대)
위원: 김남중(경상대), 김병한(연세대), 김세화(이화여대), 김준걸(성균관대), 박성우(포항공대), 박준용(충남대), 박준호(전북대), 선우환(연세대), 양은석(전북대), 이병덕(성균관대), 이병욱(토론토대), 이계식(한경대), 최원배(한양대)
김신 교수 연구실 02) 2173-3023 (e-mail: skim@hufs.ac.kr)
편집간사: 김성욱 (e-mail: kalogic2013@gmail.com)
<총무위원회>
위원장: 김동현(교통대)
위원: 박일호(전북대)
<운영위원회>
김명석(국민대), 박준용(충남대), 이진희(아주대), 여영서(동덕여대), 한성일(서울대)
<자문위원회>
김세화(이화여대), 김영배(경성대), 민찬홍(한양대), 박병철(부산외대), 박승수(이화여대), 박우석(KAIST), 박정일(숙명여대), 박창균(서경대), 송하석(아주대), 심철호(한중대), 윤보석(이화여대), 이병덕(성균관대), 이승종(연세대), 이종권(중앙대), 이좌용(성균관대), 임일환(한국외대), 정계섭(덕성여대), 정인교(고려대), 최원배(한양대), 최병일(덕성여대)
<연구위원회>
위원장: 김명석(국민대)
위원: 김동현(교통대), 김준걸(성균관대), 노호진(서울대), 양은석(전북대), 이계식(한경대), 최동호(서울대)
<학술위원회>
위원장: 홍지호 (성균관대)
위원: 강진호(서울대), 권홍우(경북대), 김성수(서울시립대), 선우환(연세대), 신상규(이화여대), 원치욱(광주과기대), 이영의(강원대), 이충형(포항공대), 한대석(충남대), 현우식(호서대)
<발전위원회>
위원장: 여영서(동덕여대)
위원: 고인석(인하대), 김세화(이화여대), 박병철(부산외대), 박정하(성균관대), 박준호(전북대), 신승철(한기대), 최훈(강원대), 하병학(가톨릭대)
김한승 교수 연구실 (email: hanskim@kookmin.ac.kr)
총무간사: 이종현 (e-mail: kalogic2017@gmail.com)
한국논리학회 2019년 여름 정기발표회(8월 2일) 안내
2019/07/07 22:06
한국논리학회 회원님들께
논리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신지요?
2019년 8월 2일(금요일)에 있을 한국논리학회 정기 발표회를 안내 드립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세 분의 발표자를 모시고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이번 정기 발표회에서는 논리학회 정기총회를 가지고자 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국논리학회 드림
---------------------------------------------------------------------
2019년 한국논리학회 여름 정기 발표회
일시: 2019년 8월 2일 금요일
장소: 한국외대(서울캠퍼스) 교수회관 2층 강연실
1:00-1:20 등록
1:20-1:30 개회사: 김신, 논리학회 회장(한국외국어대 LD학부)
1:30-2:30: 양은석(전북대 철학과): Relational semantics for Implicational tonoid logics
2:30-2:40 휴식
2:40-3:40: 이병덕(성균관대 철학과): A Genuine Dilemma between Epistemic and Practical Rationality
3:40-3:50 휴식
3:50-4:50: 김명석(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전숭현(경희대학교 철학과 석사과정): 사격분대 논증과 선택 효과
4:50-5:00 휴식
5:00-6:00: 정기총회
<초록>
1. Relational semantics for Implicational tonoid logics/ 양은석
This paper combines two classes of generalized logics, one of which is the class of weakly implicative logic} introduced by Cintula and the other of which is the class of gaggle logics introduced by Dunn. For this purpose we introduce implicational tonoid logics. We define implicational tonoid logics in general and provide their algebraic semantics. We then examine their relation to weakly implicative logics and special kinds of gaggle logics called ``implicational partial-Galois logics.'' Next, we introduce relational semantics, called Routley--Meyer--style semantics, for those implicational tonoid logics.
2. A Genuine Dilemma between Epistemic and Practical Rationality/ 이병덕
In this paper, I defend the Incommensurability Thesis which holds that one cannot determine what one ought to believe, all-things-considered, when epistemic rationality conflicts with practical rationality. More specifically, I argue for two things. First, there are exceptional cases in which someone has a practical reason to bring it about that he is in a particular belief state, even though he has an epistemic reason not to hold the belief. Second, in such an exceptional case, we face a genuine dilemma because there is no objective principle by which to reconcile conflicts between epistemic and practical rationality. As a consequence, when a person is in such a dilemma, it is ultimately up to the person to decide which doxastic attitude to take.
3. 사격분대 논증과 선택 효과/ 김명석, 전숭현
1000명의 사수로 이루어진 사격 분대가 사형수에게 발포했지만 사형수는 총에 한 발도 맞지 않았고, 사형수가 총을 한 발이라도 맞았다면 죽었을 것이라고 가정해 보자. 리차드 스윈번(Richard Swinburne)은 이 경우, 사형수가 가진, 자신이 총에 한 발도 맞지 않았다는 증거가, 사격 분대가 일부러 자신을 맞추지 않으려는 의도로 발포했다는 가설을 사격 분대가 그러한 의도 없이 발포했다는 가설보다 더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엘리엇 소버(Eillot Sober)는, 사형수가 총에 맞았다면 죽었을 것이기에 사형수는 자신이 총에 맞지 않았다는 증거만 얻을 수 있으므로, 사형수가 얻은 증거는 선택 효과에 의해 치우쳐진 증거이기 때문에 두 가설 중 어느 한 가설을 다른 가설보다 더 지지할 수는 없다며 스윈번을 비판한다. 조나단 와이즈버그(Jonathan Weisberg)는 소버의 논증이 잘못되었으며 스윈번의 결론이 맞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와이즈버그의 결론에 동의하지만, 그의 근거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선 소버와 와이즈버그 모두 선택 효과에 대해 오해하고 있으며, 이를 올바로 이해할 때 사형수가 가진 증거는 사격 분대가 자신을 맞추지 않으려는 의도로 발포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한국논리학회 2019년 봄 정기발표회 (5월 4일, 전북대)
2019/04/24 15:00한국논리학회 겨울정기발표회(1/25) 안내
2019/01/15 17:32
2019년 1월 25일(금요일)에 있을 한국논리학회 정기 발표회를 안내 드립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네 분의 선생님을 모시고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성균관대 철학과 인문교육연구소’ 주최로 열리는 이번 학회에,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2019년 1월 25일 금요일
장소: 성균관대 명륜캠퍼스 호암관 50412호
주최: 성균관 대학교 철학과 인문교육연구소
1:00-1:20: 등록
1:20-1:30: 개회사 (논리학회 회장 김신(외대) / 성균관대 이병덕)
1부: 1:30-3:40: 사회(이진희/아주대)
1:30-2:30: 발표1(최승락/고려대): The Proof-Theoretic Criterion for Paradoxicality and
Ekman-Type Reductions
2:30-2:40 휴식
2:40-3:40: 발표2(정재민/원광대): A 'Permissivist' Worry about Leitgeb and Pettigrew's Argument for Bayesianism
3:40-3:50 휴식
2부: 3:50-6:00: 사회(김명석/국민대)
3:50-4:50: 발표3(이계식/한경대): 논리를 누구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4:50-5:00 휴식
5:00-6:00: 발표4(이병덕/성균관대): A Coherentist Justification of Induction
--------------------------------------------------------------
초록
최승락: The Proof-Theoretic Criterion for Paradoxicality and Ekman-Type Reductions
초록: : Neil Tennant(1982, 1995) proposes an idea of avoiding paradoxes by restricting ourselves to a normal derivation. A derivation formalized in natural deduction can be in normal form through a certain reduction procedure. Tennant(1982) has given examples that a reduction process of paradoxical derivations ends up in a non-terminating reduction sequence. He proposes a proof-theoretic criterion for paradoxicality that a genuine paradox is a derivation of an unacceptable conclusion which is involved in a certain form of id est inferences and generates a non-terminating reduction sequence.
Schroeder-Heister and Tranchini(2017) argue that Tennant’s criterion for paradoxicality needs to be refined by suggesting a counterexample, called Ekman’s paradox. Not only Tennant, but Schroeder-Heister and Tranchini have offered solutions to the probl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valuate whether their solutions are successful. First, we argue that the solution of Tennant(2016, 2017) that the choice of generalized elimination rules can block the derivation of an absurdity from Ekman’s paradox is not successful. The real issue is not a choice of the form of elimination rules but of the set of proper reduction procedures. Second, it will be discussed that Schroeder-Heister and Tranchini’s Triviality test may not restrict all Ekman-type reduction process because it works relative to a given system.
For our solution to Ekman’s paradox, we shall propose Translation test with the minimum requirements that a legitimate reduction procedure must neither (T1) eliminate any necessary premise nor (T2) introduce any unnecessary detour. Consequently, Translation test can restrict the use of the Ekman-type reduction processes.
정재민: A 'Permissivist' Worry about Leitgeb and Pettigrew's Argument for Bayesianism
초록: Probabilism says that a doxastic state should be probabilistically coherent. Conditionalization says that an agent should update her doxastic state by conditionalizing on new evidence that she learns with certainty. Leitgeb and Pettigrew argue that Probabilism and Conditionalization are justified by appealing to accuracy. However, in this paper, I show that, given a plausible view on permissive epistemic rationality, their arguments are unsound.
이계식: 논리를 누구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초록: 논리가 중요하며 논리적 사고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말은 상식이다. 하지만 논리교육의 중요성은 논리의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중,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논리 관련 수업이 거의 없다는 단편적인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예를 들어, 수리논리의 영향이 큰 수학 및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련 학과에서 제대로된 수리논리 기초를 가르치는 대학은 국내에 사실상 단 한 곳밖에 없다. 이에 반해 수학 및 프로그래밍 관련 학생 및 연구자들의 수리논리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다.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 국내 논리교육의 방향을 한 번 모색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수학과 수리논리를 전공하였고 다년간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담당한 연구자 입장에서 이 문제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이병덕: A Coherentist Justification of Induction
초록: In this paper I offer a coherentist justification of induction along the lines of a Sellarsian coherence theory. On this coherence theory, roughly, a proposition (or a rule of inference) is justified if we can meet all objections raised against it in our social practice of demanding justification and responding to such demands. On the basis of this theory of justification, I argue that we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e principle of induction in part because we have no alternative but to accept the principle of induction in order to pursue our epistemic goal. In addition, my coherentist view explains which inductive inferences it is rational to accept. Furthermore, my coherentist view also explains why there is no numerical probability x such that if the numerical probability of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x, then we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at p.
한국논리학회 2018 가을 정기발표회 안내
2018/11/01 12:41한국논리학회 정기발표회(6/22) 안내
2018/06/10 10:51
논리학회 회원님들께
모두 안녕하신지요?
2018년 6월 22일(금요일)에 있을 한국논리학회 정기 발표회를 안내 드립니다.
이번 발표회는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논리교육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교육관련 발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한국논리학회의 발표주제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논리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것입니다.
많은 회원 선생님들이 담당하시는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것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국논리학회 드림
----------------------------------
일시: 2018년 6월 22일 금요일 1:30-5:00
장소: 연세대학교(신촌), 백양관 S404
1:30 등록
1:40 개회인사 (김신 회장)
발표: 1:45-4:15
사회: 김명석(국민대)
발표1: 1:45-2:30
이진희(아주대): 교양교육으로서의 논리교육 현황과 분석
발표2: 2:30-3:15
여영서(동덕여대): 대학 교양 논리학,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휴식: 3:15-3:30
발표3: 3:30-4:15
홍지호(성균관대):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법 옹호
종합토론: 4:15-5:00
사회: 김한승(국민대)
토론: 김동현(교통대), 김신(한국외대), 송하석(아주대)
<논리연구> 발표논문 총목록
2018/03/01 16:23Seungrak Choi | Tennant’s Conjecture for Self-Referential Paradoxes and its Classical Counterexample | 1-30
Eunsuk Yang | Involutive extensions of fixpointed mianorm-based logics | 31-52
홍지호 ‧ 여영서 |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의 구분 기준 | 53-83
이진희 | 비고전논리학과 반예외주의 | 85-125
23집 3호 | 20201031
Eunsuk Yang | Algebraic Routley-Meyer-style semantics for the involutive monoidal t-norm logic IMTL | 177-194
이재호 | 필연적 연결과 경험주의 | 195-230
23집 2호 | 20200630
전영삼 | 엄격한 시험과 증거-가설 생성의 메커니즘 | 71-115
박정일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 | 117-159
23집 1호 | 20200229
Eunsuk Yang | Mianorm-based Logics with right and left n-potency axioms | 1-24
최훈 |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이다! | 25-55
22집 3호 | 20191031
이일권 | 베이즈주의와 헴펠: 베이즈주의자들은 헴펠의 직관을 포착하는가? | 351-395
Eunsuk Yang | Involutive Idempotent Uninorm Logics and Pretabularity | 397-415
박정일 | 『논리-철학 논고』의 연산 이론에 관하여 | 417-446
22집 2호 | 20190630
김세화 | 조작논증과 어니, 다이애나, 번개 | 233-251
박정일 | 『논리-철학 논고』의 그림 이론에 관하여 | 253-290
Eunsuk Yang | R, Fuzzy R, and Set-Theoretic Kripke-Style Semantics | 291-307
이승택 | 취소된 서술 행위와 표적 이동 | 309-332
22집 1호 | 20190228
김명석 | 생겨난 이의 자기의식 정보 | 1-23
Eunsuk Yang | Set-theoretic Kripke-style Semantics for Weakly Associative Substructural Fuzzy Logics | 25-42
안요한 | ZFC와 열거불가능성 | 43-86
이진희 | 양진주의와 더미 역설 | 87-124
이병덕 |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 | 125-150
홍지호 ‧ 여영서 |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인가? | 151-182
김준성 | 인과 도구 변수와 조종자 그리고 인과 이행성의 관계 | 183-209
21집 3호 | 20181030
박일호 | 주요 원리와 조건화의 상호보완성 | 321-352
Eunsuk Yang | Algebraic Routley-Meyer-Style Semantics for the Fuzzy Logic MTL | 353-371
김성수 | 자유의지에 대한 조작논증과 근원 - 양립가능주의의 대응 | 373-393
21집 2호 | 20180630
Eunsuk Yang |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Weakly Associative Fuzzy Logics | 155-173
이재호, 김민석 | 불가능한 가능성은 양상주의를 구원할 수 있는가? | 175-206
김동현 | 진리담지자와 사실 사이의 동일성에 대하여 | 207-230
박정일 |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명제적 태도 진술 | 231-267
토론
이병덕 | 믿음, 실용적 수용, 그리고 인식적 수용 | 269-298
21집 1호 | 20180228
박정일 |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 1-37
Eunsuk Yang | Set-Theoretical Kripke-Style Semantics for an Extension of HpsUL, CnHpsUL* | 39-57
Seungrak Choi | Liar-Type Paradoxes and Intuitionistic Natural Deduction Systems | 59-96
이정민 | 구문론으로서의 수학: 괴델의 비판과 카르납의 과학적 철학 | 97-133
20집 3호 | 20171030
Eunsuk Yang | Some axiomatic extensions of the involutive mianorm Logic IMIAL | 313-333
이진희 | 소렌센 더미 역설 | 335-366
최원배 | 입증의 역설 다시 보기 | 367-390
20집 2호 | 20170630
박정일 |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러셀의 역설| 163-196
이주한 | '믿음'과 인식적 수용 | 197-239
Seungrak Choi | Can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be a Ground for Dialetheism? | 241-271
Eunsuk Yang | Involutive Micanorm Logics with the n-potency axiom | 273-292
김명석 | 자기 의식 정보와 관찰 선택 효과 | 1-19
김준성 | 선언 원인에 대한 평가와 대안: 조절 효과 변수, 인과상호작용, 확률 궤적에 토대한 인과 구조의 역할 | 21-67
박정일 | 비트겐슈타인과 환원 가능성 공리 | 69-96
Gyesik Lee | Frege's influence on the modern practice of doing mathematics | 97-112
Seahwa Kim, Takeshi Sakon | Instantaneous Temporal Parts and Time Travel | 113-141
19집 3호 | 20161030
권홍우 | 무어의 역설과 자기-지시 | 341-368
김명석 | 두 딸 문제와 선택 효과 | 369-400
최동호 | 대용어적 '그것' 논증을 둘러싼 영원주의와 일시주의 사이의 논쟁에 대하여 | 401-435
Eunsuk Yang | Weakly associative fuzzy logics | 437-461
19집 2호 | 20160630
이진희 |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직관 | 145-184
선우 환 |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는 왜 오류인가?: 논증의 목적과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평가 | 185-232
최원배 | 반 멕기의 반례, 확률, 그리고 애매성 | 233-252
박정일 | <논리-철학 논고>의 동일성 개념에 관하여 | 253-294
Eunsuk Yang |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substructural fuzzy logics | 295-322
19집 1호 | 20160229
박정일 |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공간'에 관하여 | 1-47
Onyoung Oh | Kripke vs. Wittgenstein on the Notion of Rule-Following and Semantic Contextualism | 49-82
Gyesik Lee | On Induction Principles in Frege's Grundgesetze and in Systems Thereafter | 83-106
Eunsuk Yang |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an extension of HpsUL, CnHpsUL* | 107-126
18집 3호 | 20151030
정인교 | 증명론적 타당성의 사소성 문제 | 307-335
김신, 이진용 | 긍정논법 반례에 대한 선행연구와 확률 | 337-358
홍지호 | 무법칙적 일원론은 결과논변에 대응할 수 있는가? | 359-387
홍예리 | 인식적 독단론에 제기되는 베이즈주의적 비판에 대한 새로운 제안 | 389-436
Eunsuk Yang | Routley-Meyer semantics for R | 437-456
18집 2호 | 20150630
박일호 | 고차 조건화와 믿음 기반 약화 | 167-196
Eunsuk Yang | Some Axiomatic Extensions of the Involutive Micanorm Logic IMICAL | 197-216
이병덕 | 지칭의 대용어 이론과 이에 대한 비판들 | 217-242
윤보석 | 베이즈주의는 독단론에 호의적인가? | 243-264
김성수 | 김세화 교수의 반론과 활성 경로 이론의 제한 및 확장 | 265-289
18집 1호 | 20150228
박정일 | 프레게와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대상 개념 | 1-38
선우환 | 밸러궈의 수학적 플라톤주의와 인식론적 문제 | 39-63
Eunsuk Yang | Set-theoretical Kripke-style semantics for three-valued paraconsistent logic | 65-82
김준성 | 이행적 인과 경로를 통한 원인 효과에 대한 해명: 구조 방정식에 토대한 인과 모형의 원인 효과 개념에 대한 평가와 대안 | 83-131
김세화 | 김성수 교수의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와 그에 대한 반론 | 133-152
17집 3호 | 20141031
송하석 | 형이상학적 원리로서의 무모순율: 모순이 관찰 가능한가? | 373-398
박일호 | 지각적 독단론과 베이즈주의 호의성 | 399-423
원치욱 | 수리기사의 역설, 무엇이 역설적인가? | 425-439
Eunsuk Yang |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Three-valued Paraconsistent Logic | 441-460
Kyoung-Eun Yang | The Constructive Interpretation of Probability | 461-483
17집 2호 | 20140630
송하석 | 피노키오 역설에 대하여 | 233-251
김한승 | ‘ANY’와 ‘아무’에 관한 분석 | 253-286
박준호 | 분석의 역설과 역설회피의 전략 | 287-321
양은석 | An Axiomatic Extension of the Uninorm Logic Revisited | 323-348
박창균 | A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Rough Set Theory | 349-357
17집 1호 | 20140228
박정일 | [논리-철학 논고]의 일반성 개념에 관하여 | 1-31
박우석 | 타르스키의 논리적 귀결 정의의 역사적 배경 | 33-69
박준용 | 모형론적 논리적 귀결과 논리상항 | 71-108
김남중 | 지식가능성 역설과 반사실적 조건 명제에 대한 논파자 | 109-135
이진희 | 고차모호성과 극단적 결정불가능성 | 137-180
양은석 |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weakening-free fuzzy logics | 181-195
이병덕 | 귀납추론에 토대한 직설법적 조건문 | 197-216
16집 3호 | 20131031
변영진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 | 309-346
박정일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프레게 의미이론 비판 | 347-380
송하석 | 크립케의 진리론은 복수의 문제를 피할 수 있는가? | 381-406
정인교 | 직관주의적 유형론에서의 진리개념 | 407-436
양은석 | MTL의 표준 완전성 | 437-452
16집 2호 | 20130630
김동현 | 원초적 해석의 축소주의적 이해 | 131-154
박일호 | 조건화와 입증: 조건화 옹호 논증 | 155-187
이진희 | 더미의 역설과 초평가주의 | 189-231
박준호 | 존재론의 범위와 책무: 콰인의 존재론적 개입 | 233-271
민찬홍 | 사고력 시험으로서의 법학적성시험 | 273-293
16집 1호 | 20130228
Eunsuk Yang | Weakening-free fuzzy logics with the connective Δ (Ⅱ): a variant of Baaz projection | 1-16
Sungil Han | Can Collective CausationResolve the Paradox of Before-Effect?: A Critique of Yi’s Solution | 16-44
Seahwa Kim | Yagisawa on Peacocke and van Inwagen | 45-60
민찬홍 |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 61-86
이병덕 | 두 가지 종류의 직설법적 조건문과 전건 긍정식 | 87-115
15집 3호 | 20121030
Gyesik LeeㆍHyeon-Suk Na | A Note on Kruskal's Theorem | 307-321
양은석 | 논란 없는 원리를 재고함 | 323-346
이병덕 |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분석과 셀라스-브랜덤 의미론 | 347-373
최원배 | 논란 없는 원리와 전건 긍정식 | 375-391
15집 2호 | 20120630
Eunsuk Yang | R, fuzzy R, and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 207-221
김한승 | 준거집합 문제와 자격의 문제 | 223-249
김세화 |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분석에 대하여 | 251-271
이병덕 | 논란 없는 원리와 최원배 교수의 반론 | 273-292
15집 1호 | 20120228
Eunsuk Yang | Kripke-style Semantics for UL | 1-15
김명석 | 동전을 던진 후 미녀를 깨우다 | 17-52
김동현 | 실체적 속성으로서의 진리의 개념과 역할 | 53-83
Kyuong-Eun Yang | Van Fraassen on Empirical Equivalence Argument and Interpretations of Space-time | 85-106
Namjoong Kim | Sleeping Beauty: a Garberian Approach | 107-153
박정일 | 비트겐슈타인과 힐베르트 프로그램 | 155-189
14집 3호 | 20111030
Kyoung-Eun Yang | The Pessimistic Induction and Space-Time Theories | 1-26
박일호 | 조건화와 고차 믿음 갱신 | 27-58
김한승 | 확률에 대한 관점주의 | 59-84
최원배 | 논란 없는 원리를 둘러싼 최근 논란 | 85-100
정인교 | 직관주의적 유형론에서의 분석성과 완전성 | 101-136
박준용 | 양의 비율로서 실수 | 137-175
14집 2호 | 20110630
박우석 | 베르나이스와 공리적 방법 | 1-37
정인교 | 직관주의적 유형론에서의 명제와 판단 | 39-75
최 훈 | 무지에의 호소 다시 보기 | 77-103
선우환 | 존재 예화 규칙과 보편 조건문화 규칙:김영정 교수의 연구를 출발점으로 | 105-120
14집 1호 | 20110228
송하석 | 잠자는 미녀의 문제, 그의 대답은? | 1-22
이준효 | 모호성과 맥락고정논변 | 23-53
Eunsuk Yang | Standard Completeness for the Weak Uninorm Mingle Logic WUML | 55-75
Yohan Joo | On Nominalist Paraphrase | 77-101
김세화 | 우연성과 설명의 요구 논증 | 103-117
13집 2호 | 20100831
최 훈 | 김영정 교수의 비판적 사고론 | 1-26
박정일 | 김영정 교수의 선제논리 프로그램 | 27-60
송하석 | 무지로부터의 논증, 모두 오류인가? | 61-82
양은석 | 공학도를 위한 논리: ‘발표와 토론’을 위한 논리 교수ㆍ학습 모형 | 83-116
이진희 | 소렌센의 더미와 ‘모호함’의 모호함 | 117-134
홍지호 | 결과논변과 수반논변 | 135-166
강수휘 |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 167-201
13집 1호 | 20100228
Eunsuk Yang | A New Proof of Standard Completeness for the Uninorm Logic UL | 1-20
Hanseung Kim | Sleeping Beauty's Reflection: In and Out | 21-52
Kyoung-Eun Yang | A Third Way to Interpretations of Probability | 53-81
박병철 |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와 형이상학 | 83-100
홍지호 | 행위자 원인은 행위자의 통제력에 도움을 주는가? | 101-128
12집 2호 | 20090831
최원배 | 수학적 대상의 존재와 우연성 | 1-29
송하석 |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스톨네이커의 해석 | 31-58
이병덕 | 실천추론에 의한 귀납의 정당화 | 59-88
여영서 | 의학의 뉴컴 문제와 인과적 결정 이론 | 89-114
Eunsuk Yang | On the Standard Completeness of an Axiomatic Extension of the Uninorm Logic | 115-139
Woosuk Park | The Status of Scientiae Mediae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Biancani's Case | 141-170
Kyoung-Eun Yang | Reconsidering the Formal Accounts of Continuity in the Theory-Change from Newtonian to Einsteinian Physics | 171-199
12집 1호 | 20090228
이승온 황인재 | '가깝다'에 관하여 | 1-24
이좌용 | 인과성과 합리성 | 25-41
김준성 | 인과의 두 수준에 대한 결정론적 인과의 해명과 그것의 한계 | 45-87
Eunsuk Yang | Non-associative Fuzzy-relevance Logics: Strong t-associative Monoidal Uninorm logics | 89-110
서평
정인교 | 논리학의 두 교재 | 111-119
11집 2호 | 20080831
박우석 | 제르멜로와 공리적 방법 | 1-57
이영철 | 문법으로서의 논리: 비트겐슈타인의 논리관 | 59-93
박일호 | 원초적 확률주의와 베이즈 인수 | 95-127
Byeong-Uk Yi | Zeno Series, Collective Causation, and Accumulation of Forces | 129-171
Eunsuk Yang | Standard Completensee Results for Some Neighbors of R-Mingle | 173-199
토론
김세화 | 프로슬로기온 3장 논증의 새로운 해석! | 201-211
11집 1호 | 20080228
이진희 | 버지스-로젠 딜레마와 유명론 | 1-31
박정일 | 비트겐슈타인과 모순 | 33-65
최원배 | 반 멕기의 반례와 해결책 | 67-89
원유나 | 직설법적 조건문의 인식적 수용조건 | 91-129
Eunsuk Yang | Uninorm Logic: Toward a Fuzzy-Relevance Logic(2) | 131-156
10집 2호 | 20070831
김세화 |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Makes No Difference"는 논증과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 | 1-22.
최원배 | 흄의 원리와 암묵적 정의 | 23-46.
박준용 | 프레게 제한: 수의 정의와 적용 가능성 | 47-107.
김범인 | 크립키식 양상 의미론의 일차 술어 논리를 통한 번역 | 109-123.
Eunsuk Yang | (weak) R-Mingle: Toward a Fuzzy-Relevance Logic | 125-146
서평
김한승 | 안건훈의 <기호논리학과 그 응용> | 177-181
10집 1호 | 20070228
Eunsuk Yang | Algebras and Semantics for Dual Negations | 1-23
권병진 | 수학에 대한 구조주의적 해석과 비공허성의 문제 | 25-64
이종권 | 논리적 귀결과 논리 상항의 의미 | 65-98
최원배 | '프로슬로기온' 3장 논증의 새로운 해석? | 99-107
여영서 | 인과의 조종가능성 이론과 간섭 | 109-130
9집 2호 | 20060831
Eunsuk Yang | Algebraic Semantics for Some Weak Boolean Logics | 1-30
노호진 | 조건문에 관한 성향적 분석 | 31-57
박정일 | 비트겐슈타인과 유아론 | 59-98
Hanseung Kim | What the Gentle Murder Paradox Means to Event Semantics? | 99-116
박우석 | 매디의 수학적 자연주의의 존재론적 퇴보 | 117-175
서평
김한승 | 안건훈의 <기호논리학과 그 응용> | 177-181
9집 1호 | 20060228
Eunsuk Yang | Algebraic Completeness Results for sKD and Its Extensions | 1-29
송하석 | 포퍼의 확률의 성향 이론 | 31-62
이종권 | 뉴컴의 역설과 합리적 선택 | 63-95
박만엽 | '규칙따르기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비판적 분석 | 97-136
권병진 | 수학적 플라톤주의와 수의 비고유성 문제 | 137-171
강수휘 | 현재성 문제와 지금의 지표성 | 173-204
서평
정인교 | 최창선의 <집합론 입문> | 205-213
8집 2호 | 20050831
정계섭 | 수학적 참과 증명가능성 | 3-32
이영의 | 베이즈주의에서의 증거개념 | 33-58
최원배 | 조건부 확률과 조건문의 확률 | 59-84
Eunsuk Yang | Strong Kleene-Diense Logic | 85-107
한성일 | 지식귀속은 민감하게 이뤄지는가? | 109-141
서평
백도형 | 이좌용의 <존재론 연구 I> | 145-155
8집 1호 | 20050228
Gyula Klima | Quine, Wyman, and Buridan: Three Approaches to Ontological Commitment | 1-22
송하석 | 확률의 상관빈도 이론과 포퍼 | 23-46
이영의 | 인과적 마코프 조건과 비결정론적 세계 | 47-67
최원배 | 흄의 원리와 '내용의 분할' | 69-88
7집 2호 | 20040831
이병덕 | 의미 전체론과 의미 불안정성 문제에 관하여 | 1-14
홍성기 | 데테킨트 절단, 배중률, 관계 | 15-46
박병철 |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현상학적 측면 | 47-70
박정일 | 비트겐슈타인은 왜 <논고>를 포기했는가? | 71-104
양은석 | LC, LC를 위한 루트리-마이어 의미론 | 105-120
여영서 | 베이즈주의와 제거적 귀납주의 | 121-146
7집 1호 | 20040228
M. Duzi and P. Materna | A Procedural Theory of Concepts and the Problem of Synthetic a Priori | 1-22
이좌용 | 인과성과 인간 동일성 | 23-40
김영건 | 소여, 현상학, 모순 | 41-65
Doesik Kim | Kripke's Theory of Truth and the Liar Paradox | 67-83
송하석 | 행위 문장과 부사어 | 85-100
권병진 | 수 미결정성, 동일성 기준 그리고 종 | 101-117
서평
배선복 | 김국태의 <비판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실용논리학> | 121-129
양은석 | Dunn and Hardegree의 Algebraic Methods in Philosophical Logic | 131-136
6집 2호 | 20030830
정인교 | 자체적으로 정당한 규칙과 논리상항의 의미 | 1-22
선우환 | 왜' 질문의 논리적 구조 | 23-48
정계섭 | 조합논리 소개 | 49-67
양은석 | E-체계들을 위한 루트리-마이어 의미론 | 69-81
이상하 | 선호구조의 질적 순서화 | 83-106
김한승 | 페리의 지표성 | 107-134
여영서 | 베이즈주의와 오래된 증거의 문제 | 135-158
서평
박정일 | 박병철의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현상학적 측면> | 161-172
6집 1호 | 20030220
송하석 | 두 봉투의 역설에 대하여 | 1-18
Eunsuk Yang | Routley-Meyer Semantics for E-R, Ee-R, Eec-R | 19-32
김세화 | 양상 허구주의, 고립된 우주, 그리고 다우주 | 33-50
최훈 | 사람에의 호소는 오류인가? | 51-68
김범인 | 자름규칙(cut)- 제거 연역의 증명 길이에 대하여 | 69-77
서평
김세화 | J. Burgess and G. Rosen의 A Subject with No Object | 81-86
이윤일 | 아리스토텔레스의 <소피스트적 논박> | 87-92
5집 2호 | 20020630
Nino. B. Cocciarella | Logical Necessity Based on Carnap's Criterion of Adequacy | 1-21
손병홍 | 개체의 변화와 시간적 부분 | 23-38
홍성기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증명된 신화? | 39-66
박정일 | 튜링의 다리와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 | 67-91
Eunsuk Yang | Deduction for LC and Its Extension | 93-114
Joonsung Kim | The Problem of Disjunctive Causal Factors | 115-131
최훈 | 무지에의 호소는 오류인가? | 133-151
서평
김영정 | 손병홍의 <논리학> | 153-157
송하석 | <하데스의 진자>, <논리교실 필로지아> | 159-165
권병진 | 케니의 <프레게> | 167-171
5집 1호 | 20011230
김영정 |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논리 교수법에 관한 연구 | 1-26
송하석 | 포트로얄 논리학에 있어서의 계사의 기능 | 27-44
양은석 | 연관논리와 다치논리의 관계 연구 | 45-61
최원배 | 전건 긍정 규칙의 반례에 대한 카츠의 비판 | 63-79
박준용 | 고차 개념으로서 수 | 81-117
조대호 |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생물학에서 게노스와 에이도스의 쓰임 | 119-145
Sun Bok Bae | Die Leibniz's binaere Arithmetik und I-Ching's Symbolik der Hexagramme von Standpunkt der modernen Logik | 147-157
서평
하병학 | 이윤일의 <논리로 사고하기, 논리로 말하기> | 159-164
4집 | 200012
이초식 | 논리연구와 논리교육 | 1-21
김세화 | 직설 조건문과 전건 긍정문 | 23-36
박정일 | 유한주의와 철학적 해석 | 37-62
배선복 | 디오도어 대 크리십 | 63-87
선우환 | 확률 개념은 빈도 개념으로 환원될 수 있는가? | 89-107
이병석 | 데이빗슨의 Slingshot 논변은 진리대응론을 논박하는가? | 109-123
서평
심철호 | 하병학의 <토론과 설득을 위한 우리들의 논리> | 127-134
3집 | 200002
김세종 | 정량적 확률적 인과론에 관하여 | 5-26
양은석 | 진리함수와 의미론의 확장 | 27-51
이종권 | 프레게 산수 체계에서의 페아노 공리의 연역 | 53-93
최병일 | 타르스키 논리상항의 정의에 대한 연구 | 95-113
최훈 | 지적인 테니스 경기: 톰슨 대 베나세라프 | 115-125
2집 | 199812
박우석 | 논리적인 것과 논리-외적인 것 | 7-33
손병홍 | 라이프니츠의 법칙과 헤세이티즘(Haecceitism) | 35-61
송하석 | 주관주의 확률이론 | 63-89
하병학 | 현대논리학적 단초들을 중심으로 한 라이프니츠 논리학의 이해 | 91-118
양은석 | 논리-대수 구조에 관한 연구 | 119-150
서평
탁석산 | 김광수의 <논리와 비판적 사고> | 153-161
최진영 | 신홍철의 <현대논리로의 길> | 163-167
토론
정대현 | 이영철 교수의 서평과 '맞음' | 171-180
1집 | 19971226
민찬홍 | 지향문맥의 논리적-의미론적 구조에 대하여 | 9-63
송하석 | 굽타의 진리 수정론 | 65-93
최병일 | 역수학 계획에서 힐버트의 계획으로 | 95-115
양은석 | 논리적 원리들의 타당성에 관하여 | 117-138
최원배 | 프레게 맥락원리의 한 해석 | 139-166
서평
이영철 | 정대현의 <맞음의 철학> | 169-181
임일환 | 김영정의 <언어, 논리, 존재> | 183-195
정인교 | Moschovakis의 Notes on set theory 197-203
[##_1C|6126434433.png|width="560" height="396"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